아직 전 지역을 다 커버하지 못하지만 지금 계속적으로 기지국을 설치중에 있기 때문에 연말까지는 거의 대부분의 DFW metro area를 커버할 예정이라고 한다.
무선을 사용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Cable Internet이나 Verizon FiOS같은 서비스에 비해 속도면에서는 약간 떨어질 수 있어도 가장 큰 장점은 Cable Internet의 경우 동축케이블이나 ADSL의 경우 전화선이 따로 필요 없다는 것이다. 이미 케이블 TV를 보고 있는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집에 케이블 TV를 보지 않거나 유선전화가 필요 없는 경우 케이블/ADSL을 사용하려고 하면 필요없는 추가비용이 들게 된다. 또한 서비스를 신청하게 되면 케이블 공사를 위해 몇일을 기다려야 하고 일반적인 경우 1~2년간 계약을 맺어야 한다. 그에 비해 WiMax는 매장에서 무선모뎀만 구입하고 서비스를 신청하면 별다른 추가 절차 없이 신청 당일 바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고 장기 계약을 할 필요 없이 monthly-based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요금 역시 hidden-cost가 없다. 휴대폰이나 ADSL서비스를 받는 경우 월 서비스요금에 추가로 여러가지 mandatory fee와tax를 포함한 금액을 내야 한다. 휴대폰 월 서비스 요금이 $39.99이면 실제 내야 하는 금액은 거의 월 $50정도 된다. 그에 비해 clear는 월 사용료 $25인 경우 그대로 $25만 지불하면 된다.

현재 자신의 위치가 서비스 커버리지에 들어가는지는 CLEA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의 주소를 넣어주면 된다.

정확한 주소를 모르는 경우 http://www.clear.com/map으로 가서 적당한 주변 주소를 넣어주면 구글맵으로 주변 지도가 나온다.

지도상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를 클릭해주면 된다.

해당 위치가 서비스 커버리지에 포함되어 있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서비스 플랜과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재 2가지 모뎀을 선택할 수 있다. USB타입의 모뎀은 노트북에 연결해서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집에서 사용할 예정이고 두대 이상의 컴퓨터 또는 아이폰 등의 디바이스도 연결해 사용하려면 거치형 모뎀에 무선 공유기를 연결해 사용하면 된다.

Home Internet의 경우 3가지 서비스 플랜이 있다. 2년 약정을 하는 경우와 무약정인 경우가 있는데 어느 경우건 월 사용료는 동일하다. 차이점은 약정의 경우 모뎀을 구입할 필요 없이 월 몇불에 리스가 가능하다는 것 정도이다. 처음에 모뎀을 그냥 구입하면 귀찮은 약정 없이 monthly based로 사용할 수 있다.
거치형 모뎀이다.
모뎀은 매우 간단하다. 뒤쪽에 전원 아답터 커넥터와 랜케이블 커넥터만 연결해 주면 된다. 네트웍 케이블을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거나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 공유기의 WAN 포트에 연결해 주면 된다.
모뎀에 전원이 들어오면 모뎀이 초기화를 시작하며 위쪽의 LED가 여러가지 패턴으로 점멸한다.
초기화가 끝나면 모뎀은 연결할 기지국 신호를 찾기 시작하며 LED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기지국을 찾아 연결되면 LED가 점멸을 멈추고 LED로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 준다.
현재 $25/month 플랜을 사용중이라 설명에는 download speed up to 1Mbps로 되어 있지만 토런트에서 약 200KB/s(약 1.6~1.8Mbps)정도까지 다운이 가능했다. 또한 동영상 스트리밍이나 skype를 통한 음성통화에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었다.
pingtest.net을 사용해 테스트 해 본 결과이다. 물론 이 결과는 무선신호의 세기 및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값인건 감안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